반응형
☕ DB랑 Java, 같은 용어인데 뜻이 다르다고? 헷갈리는 개념 쉽게 정리!
개발 공부를 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들이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DB)**와 **자바(Java)**를 같이 배우기 시작하면
비슷한 용어들이 반복돼서 “이거 같은 뜻인가?” 하고 헷갈리기 쉬워요.
예를 들어, 테이블, 컬럼, 레코드, 스키마, null, 타입 같은 단어들이
DB에도 나오고 Java에서도 나오죠.
하지만 이 용어들은 사용되는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비교해서 이해해야 해요!
📊 DB와 ☕ Java에서 공통으로 쓰이는 용어 & 역할 비교 정리표
공통 용어DB에서의 역할Java에서의 역할
테이블 (Table) | 데이터를 행(Row)과 열(Column)로 저장하는 구조 | 클래스의 구조와 유사 (데이터를 담는 형식) |
컬럼 (Column) | 하나의 속성 (ex. 이름, 나이) | 클래스의 필드(Field)와 유사 |
레코드 (Record) 또는 행(Row) |
실제 저장된 한 줄의 데이터 | 객체(Object)와 유사, 클래스의 인스턴스 |
스키마 (Schema) | 테이블 구조 등 전체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 클래스 정의와 유사 (설계도 역할) |
데이터 타입 (Data Type) | VARCHAR, INT, DATE 등 → 값의 종류 정의 | int, String, boolean 등 → 변수 타입 정의 |
ID / Primary Key | 테이블의 고유한 식별자 | 객체의 고유 ID 값 → equals/hashCode 기준으로 쓰기도 함 |
NULL | 값이 없음을 의미 | null → 객체가 비어있음을 의미 |
Query (쿼리) | 데이터를 조회, 수정, 삭제하는 명령어 (SQL 사용) | SQL 쿼리를 자바 코드로 작성해서 DB에 전달 (JDBC, JPA 등에서 사용) |
Connection | DB에 접속하는 세션, 연결된 상태 | Java에서 DB와 연결할 때 Connection 객체 사용 |
Transaction | 하나의 작업 단위를 묶는 기능 (롤백, 커밋 등) | Java에서도 트랜잭션 관리 가능 (예: Spring에서 @Transactional) |
🔍 혼동하기 쉬운 포인트 정리
- DB의 테이블 ≠ 자바 클래스지만, JPA 같은 ORM을 사용하면 거의 1:1 매핑돼요
- null 개념은 비슷하지만, 자바에선 int 같은 기본형은 null이 될 수 없어요
- 쿼리는 DB에서 직접 실행하는 명령어지만, 자바에서는 코드로 작성해서 DB에 전달해요
#자바기초 #데이터베이스기초 #DB용어정리 #자바DB연결 #개발기초 #코딩입문 #프로그래밍기초 #JPA공부 #SQL기초 #자바공부중 #DB와자바차이 #초보개발자 #자바클래스 #데이터모델링 #자바객체 #쿼리문이해 #트랜잭션이란 #null이란 #자바타입 #DB개념정리
4o
반응형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코드를 이해하는 기본 구조 (1) | 2025.04.01 |
---|---|
java 변수 이름 경우 / 변수 초기화 경우 (언어 & 상황별) (0) | 2025.04.01 |
java 주석,실행문, 세미콜론 정리 (0) | 2025.03.31 |
java class 만들기 (0) | 2025.03.31 |
Java와 JavaScript 차이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