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69

아키텍처 구조

이건 스프링(Spring)에서 많이 쓰는 MVC 아키텍처 구조 + 서비스/레포지토리 계층 구조.🍔 햄버거 주문에 비유해서 이해해보기 😄🍔 햄버거 주문 시스템 비유너가 햄버거 주문함 → 요청 (Request)점원이 주문을 받음 → Controller주방장이 요리함 → Service (비즈니스 로직)재료 창고에서 재료 꺼냄 → Repository (DB 처리)주방장이 요리 다 하고 포장함 → Model점원이 포장된 햄버거를 너한테 줌 → View + Response✅ 각 요소 간단 설명역할이름설명🍽️ 사용자 요청 받는 입구DispatcherServlet스프링의 중앙 접수처 (모든 요청이 여기로 들어옴)🧑‍⚖️ 판단 & 연결Controller요청 내용을 보고 서비스에 전달해줌👨‍🍳 실제 일 처리S..

게터(Getter)**랑 **세터(Setter)

✅ "숨긴 값을 꺼내고 바꾸는 도구"야!📦 예시로 비유해볼게:너한테 비밀 상자가 하나 있어.그 안엔 "편지"가 들어 있어.🔒 상자는 잠겨 있어서 직접 못 열어그래서 **꺼내려면 열쇠(게터)**가 필요해내용을 **바꾸려면 다른 열쇠(세터)**가 필요해✅ 자바 코드 비유로 보면 ✅ 왜 이렇게 써?값을 안전하게 보호하려고! (직접 못 건드리게 private)어떻게 꺼낼지, 바꿀지 내가 정하고 싶어서! (제어 가능)✨ 쉽게 정리이름역할쉬운 말로Getter값 꺼내기"비밀 보여줘!"Setter값 넣기"비밀 바꿔줘!"#자바 #Java #생성자 #Constructor #이클립스 #자동생성자 #객체지향 #클래스초기화 #Eclipse #개발자도구 #필드초기화 #게터세터 #접근제한자 #super #private변수 #캡..

java 접근제한자

✅ 접근 제한자란?클래스, 변수, 메서드 등에 "누가 접근할 수 있는지 범위"를 지정하는 키워드!🎯 접근 제한자 종류 & 범위접근 제한자접근 가능 범위설명🔒 private자기 클래스 내부만자기 클래스 안에서만 접근 가능. 가장 엄격해!🧱 default (선언 X)같은 패키지 내같은 폴더(패키지) 안의 클래스들만 접근 가능🛡 protected같은 패키지 +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상속된 클래스에서는 접근 가능, 다른 패키지라도 O🌎 public어디서든 접근 가능완전 개방! 누구나 사용 가능🧠 이미지 해석 팁바깥 원일수록 더 공개(public)안쪽일수록 더 숨겨짐(private)따라..

JVM 이란?

✅ JVM이란?Java Virtual Machine (자바 가상 머신)📌 한마디로 말하면:“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는 가상의 컴퓨터”🎯 왜 필요할까?자바는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실행 가능한 언어야.그 비밀이 바로 JVM 때문이야!🧠 자바 실행 구조 한눈에 보기✅ 자바는 "JVM용 언어"야→ 자바 코드를 운영체제가 아니라 JVM이 해석해서 실행해!🧱 JVM이 하는 일 (기능 요약)역할설명📦 클래스 로딩.class 바이트코드를 불러와 실행 준비🧠 메모리 관리스택, 힙, 메소드영역 등 자동 메모리 관리🗑 GCGarbage Collector로 더 이상 안 쓰는 객체 자동 삭제⚙ 실행 엔진바이트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해 CPU가 실행할 수 있게 함🚫 보안클래스, 메모리 영역 보호 기능 내장💡 JVM ..

개발자 국가기술자격증 추천

✅ 개발자 추천 국가기술자격증 (민간 제외)※ 난이도는 일반적인 기준 (초보자 기준)난이도자격증명필기실기설명🔹 쉬움정보처리기능사✅ 있음✅ 있음개발 입문자용, 고졸·학생 가능, 기초적인 컴퓨터 지식과 코딩🔹 중하컴퓨터활용능력 2급✅ 있음✅ 있음엑셀 중심, 문서 자동화나 데이터 정리에 유용🔹 중사무자동화산업기사✅ 있음✅ 있음사무+IT+프로그래밍 융합형, 현업 실무자에게도 유리🔹 중상정보처리산업기사✅ 있음✅ 있음전문대 이상 대상, 정보처리기사보다 실기 난이도 낮음🔹 상정보처리기사✅ 있음✅ 있음개발자 공무원·공기업 필수 자격증, 실무 전반 평가🔹 상정보보안기사✅ 있음✅ 있음보안 분야 희망자 추천, 실기 난도 높음🎯 상세 요약항목설명정보처리기능사코딩 입문, 고졸 이상 누구나 응시 가능컴활 2급엑셀·엑..

프로그래밍 2025.04.11

java 에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 디자인 패턴 총정리표 1️⃣Command Pattern명령 패턴명령을 객체로 만들어서 저장하고 실행하거나 취소할 수 있게 하는 패턴 (ex. 실행 취소 버튼)2️⃣Template Pattern템플릿 패턴기본 틀(알고리즘)을 만들고, 일부 단계만 자식 클래스가 바꿔서 쓰게 하는 패턴3️⃣Factory Pattern공장 패턴객체 생성 방법을 숨기고, 대신 공장에서 알아서 만들어주는 패턴4️⃣Creational Pattern생성 패턴 그룹객체를 만드는 패턴들의 모음 (Factory, Singleton 등 포함)5️⃣Strategy Pattern전략 패턴상황에 따라 알고리즘(전략)을 골라 바꿀 수 있게 만드는 패턴 (ex. 정렬 방법 바꾸기)6️⃣Iterator Pattern반복자 패턴배열이나 리스트처럼 ..

코드쓸때 언제 대문자를 적지 ??

✅ 자바에서 대문자 쓰는 대표적인 경우1. 클래스, 인터페이스, 열거형 이름📌 PascalCase 사용 → 맨 앞글자 대문자종류예시클래스Student, UserInfo, MainApp인터페이스Runnable, Serializable열거형(enum)enum Color { RED, GREEN }2. 상수(Constant)📌 전체를 대문자 + 언더바 → 대문자만 사용예시의미MAX_VALUE최대값 상수PI원주율DEFAULT_NAME기본 이름→ 대문자만 쓰는 건 “절대 바뀌지 않는 값(상수)”이라는 뜻!3. 제네릭 타입 문자 (⚠️ 자바 문법)📌 1글자 대문자 사용예시설명TType (타입)EElement (요소)K, VKey, Value (Map에서)👉 이것도 대문자지만 특별한 약속이라 그렇게 쓰는 거야!..

"스택" 구조

✅ 스택(Stack)이란?“나중에 넣은 게 먼저 나오는 구조”즉, LIFO 구조👉 Last In, First Out (마지막에 들어간 게 먼저 나옴)🎂 아주 쉬운 비유접시를 쌓는다고 생각해봐!첫 번째 접시 → 아래두 번째 접시 → 위에세 번째 접시 → 맨 위에👉 꺼낼 땐?→ 맨 위에 있는 세 번째 접시부터 꺼내야 해!🧱 구조 흐름동작설명push()데이터를 스택 위에 넣는 것pop()스택 위에서 꺼내는 것peek()꺼내지 않고, 맨 위 값을 확인만 하는 것🎯 자바에서 스택은 언제 쓰일까?상황예시메서드 호출메서드를 부르면 스택에 쌓였다가, 끝나면 빠짐괄호 검사열고 닫는 괄호가 짝 맞는지 검사할 때되돌리기뒤로가기 기능 (이전 상태를 스택에 저장)재귀 호출함수가 자기 자신을 반복 호출할 때도 스택 사용..

컨스트럭터(Constructor)란?

✅ 컨스트럭터(Constructor)란?객체가 만들어질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특별한 메서드📦 쉽게 말해:👉 "객체가 태어날 때 처음 한 번 실행되는 함수"🧁 비유로 설명하면?🍼 아기가 태어날 때:이름, 생일, 키, 몸무게가 자동으로 등록되잖아?→ 자바에서 객체가 만들어질 때도처음에 꼭 필요한 정보들을 자동으로 넣어주는 게 컨스트럭터야!🧠 컨스트럭터의 특징항목설명이름클래스 이름과 똑같음리턴 타입❌ 없음 (void도 안 씀)자동 실행new로 객체 만들 때 자동으로 실행됨용도객체가 만들어질 때 초기 설정을 해줌🔧 종류종류설명기본 생성자매개변수 없음 → 값은 나중에 설정일반 생성자매개변수 있음 → 객체 만들 때 값도 함께 설정생성자 오버로딩여러 개의 생성자를 만드는 것 (매개변수 다르게)📌 예를 들..

Garbage Collector 란?

🗑️ 갈비지 컬렉터(Garbage Collector)란?자바에서 "더 이상 쓰지 않는 메모리(객체)"를 자동으로 찾아서 지워주는 청소부야!📦 쉽게 말해보자🎯 예시 상황:너가 방에서 장난감을 꺼내 쓰고 있었어.근데 이제 안 쓰는 장난감이 바닥에 굴러다녀…❗ 이걸 너 대신 자동으로 치워주는 로봇 청소기가 바로 갈비지 컬렉터야!🧠 왜 필요할까?이유설명자바는 직접 메모리 해제를 하지 않음C언어와 달리 free() 같은 함수가 없음메모리 누수를 막기 위해사용하지 않는 객체가 계속 남아있으면 메모리 부족 💥자동으로 청소해줌개발자가 실수로 잊지 않아도 됨 👍🔧 어떤 객체가 지워질까?"아무도 참조(사용)하지 않는 객체"예:⚙️ 언제 작동할까?자동으로!JVM(Java Virtual Machine)이 메모리 ..

반응형